이 글은 메디하이 자문의가 최신 치의학 근거를 검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잇몸뼈 부족 환자를 위한 뼈이식 임플란트의 필요성, 성공률, 시술 방법, 회복 기간과 흔한 오해까지 정리했습니다.
🎧 해설 팟캐스트 들어보세요!
“임플란트를 하려는데 뼈이식이 필요하다?”

이런 말을 처음 들으면 누구나 당황합니다.
“꼭 해야 하나?”, “통증은 얼마나?”, “잘 자리 잡을까?”와 같은 걱정이 뒤따르죠.
특히 오랫동안 치아를 잃은 채 두면 잇몸뼈와 잇몸이 쪼그라들어 임플란트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부족한 뼈를 보강하는 과정이 바로 뼈이식입니다.
목차
- 뼈이식 임플란트가 필요한 이유
- 뼈이식 후 임플란트 성공률과 장점
- 대표적인 뼈이식 방법
- 뼈이식 이후 임플란트 과정
- 뼈이식과 관련한 흔한 오해
- 자주 묻는 질문(FAQ)
1.뼈이식 임플란트가 필요한 이유

치아를 잃은 후 시간이 지나면 잇몸뼈(치조골)가 점점 줄어듭니다.
뼈가 얇아지면 임플란트를 고정할 수 없어 흔들리거나 오래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임플란트는 반드시 충분한 양의 건강한 뼈에 둘러싸여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임플란트 주변의 수직 혹은 수평 골량을 늘리기 위하여 골이식을 행하기도 하며 발치 즉시 임플란트의 경우 치아를 뽑고 난 뒤에 남은 구덩이를 채우기 위하여 골이식을 행하기도 합니다
뼈이식은 임플란트 고정을 위한 안정적인 ‘집터’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2.뼈이식 후 임플란트 성공률과 장점
연구에 따르면 뼈이식 후 임플란트 성공률은 92~97%에 이릅니다.
또한 장기간 관찰 시에도 주변 뼈 손실이 12mm 내외로 적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자가골·동종골·이종골·합성골 등 다양한 이식재가 사용되며, 대부분의 경우 임플란트 뼈이식 성공률은 90% 이상으로 보고됩니다.
뼈이식의 성공률은 대체로 술식의 적합성과 환자분의 전신 질환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뼈이식 후 임플란트는 90% 이상의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이는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3.대표적인 뼈이식 방법
환자마다 뼈의 부족한 부위와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다양한 뼈이식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발치와 보존술 (Socket Preservation)

치아를 뺀 후, 그 자리의 잇몸뼈가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뼈 재료를 넣고 콜라겐 막으로 봉합하는 방법입니다.
미리 좋은 뼈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추후 임플란트 시술을 용이하게 만듭니다.
2) 상악동 거상술 (Sinus Lift)

위쪽 어금니 뿌리 위에 위치한 빈 공간인 상악동의 뼈가 얇을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치아 상실 후 상악동이 풍선처럼 내려앉아 임플란트 식립 공간이 부족해지면,뼈를 채워 넣어 임플란트를 위한 충분한 높이를 확보합니다.
한국인의 대부분은 상악동이 큰 편이어서 위 어금니 부위에 상악동 거상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악동 거상술을 하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수직적으로 뼈에 의한 지지를 받지 못하여 임플란트가 약해질 뿐더러 상악동 감염으로 인해 이비인후과적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3) 골유도재생술 (GBR, Guided Bone Regeneration)

뼈가 부분적으로 패인 경우, 특정 차폐막을 이용하여 뼈 세포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유지함으로써 새로운 뼈의 생성을 유도하는 술식입니다.
잇몸 같은 연조직이 뼈가 재생되어야 할 공간으로 침범하는 것을 막아 오직 뼈만 자라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환자의 뼈 상태에 따라 발치와 보존술, 상악동 거상술, 치조제 증대술 등 다양한 방식으로 뼈이식이 진행됩니다.
4.뼈이식 이후 임플란트 과정

내원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뼈이식과 임플란트 식립을 동시에 진행하는 동시식립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뼈의 양이 너무 부족하거나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안전을 위해 뼈이식 후 3~6개월 정도 기다려 새 뼈가 충분히 형성된 다음 임플란트를 심는 단계 식립이 더 적절합니다.
임플란트 뼈이식기간은 환자의 뼈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뼈이식과 임플란트 식립을 동시에 할지 혹은 단계별로 진행할지 결정합니다.
5.뼈이식과 관련한 흔한 오해

MRI·CT만으로 뼈이식 필요 여부를 바로 판단할 수 있다?
→ 영상은 참고 자료일 뿐, 경험 많은 의료진의 임상 판단이 더 중요합니다.
뼈이식을 하면 무조건 고생한다?
→ 뼈이식을 하면 임플란트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뼈이식 자체가 환자분의 통증이나 불편감을 늘리는 것보다는 술식 자체에서 잇몸을 젖힌 시간과 양이 통증과 더 관련성이 높습니다
뼈이식 임플란트의 부작용이 심하다?
→ 대부분의 뼈이식은 안전하게 진행되며 감염이나 부작용 발생률은 매우 낮습니다. 의료진의 지시를 잘 따르고, 꾸준한 관리를 병행하면 부작용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뼈이식 임플란트는 숙련된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함께라면 통증이나 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덜고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6.자주 묻는 질문(FAQ)
Q. 임플란트 뼈이식 통증이 심한가요?
임플란트 뼈이식 수술은 보통 국소 마취로 진행되기 때문에 수술 중에는 통증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수술 후에는 약간의 붓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처방해 드리는 진통제로 충분히 조절 가능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은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합니다.
Q. 임플란트 뼈이식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평균 3~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이식된 뼈가 안정적으로 굳는 기간을 포함합니다.
환자분의 뼈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과 뼈이식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전체 치료 계획은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됩니다.
Q. 어떤 뼈 재료를 사용하나요?
뼈이식에 사용하는 재료는 환자분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됩니다. 본인의 뼈를 사용하는 자가골부터 사람의 뼈에서 추출한 동종골, 동물의 뼈를 가공한 이종골, 그리고 인공적으로 만든 합성골까지 맞춤형으로 선택하여 최상의 결과를 추구합니다.
Q. 임플란트 뼈이식 부작용은 흔한가요?
임플란트 뼈이식 수술은 감염이나 실패율이 매우 낮아 안전한 시술로 분류됩니다. 전문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숙련된 시술, 그리고 환자분의 적절한 사후 관리가 더해지면 대부분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안내해 드리는 주의사항을 잘 지켜주시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Q. 언제 뼈이식 임플란트를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
치아를 상실한 후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가 빠진 자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잇몸뼈가 흡수되어 점차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뼈 흡수가 진행되기 전에 뼈이식 임플란트를 시작하면 더 좋은 예후와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뼈이식은 단순한 보조 과정이 아니라, 임플란트를 오래 쓰기 위한 든든한 기초공사입니다. 두려워하기보다 나에게 필요한 방법을 정확히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함께라면, 누구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 Pjetursson, B. E., et al. (2014).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Clinical Oral Implants Research, 25(6), 725–742.
-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Implantology. (2023). Clinical guideline for bone grafting in implant dentistry.
- Esposito, M., et al. (2012).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augmentation procedures of the maxillary sinu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 본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메디하이에게 있습니다. 무단 복제, 배포, 2차 가공을 엄격히 금지하며, 위반 시 사전 경고 없이 법적 절차를 진행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