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메디하이 자문의가 최신 치의학 근거를 검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부분틀니, 브릿지, 브릿지임플란트를 비교 분석하여 치아 상실 후 환자 상황별 맞춤 치료법을 안내합니다.
🎧 해설 팟캐스트 들어보세요!
“치아가 여러 개 빠졌는데 틀니, 브릿지, 임플란트… 어떤 게 맞을까요?”
“주변 사람들 말이 다 달라서 더 헷갈려요.”

많은 분들이 이런 고민을 하십니다. 특히 시술 명칭이 헷갈리기 쉬워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오늘은 이 세 가지 치료법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나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찾을 수 있도록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 부분틀니 vs 브릿지 vs 브릿지임플란트 비교
- 각 치료법의 단점과 위험성
- 나에게 맞는 치료법 선택 가이드
- 자주 묻는 질문(FAQ)
1.부분틀니 vs 브릿지 vs 브릿지임플란트 비교

세 가지 치료법은 일상생활에서 각기 다른 사용감을 제공합니다.
1) 사용감 분석
- 부분틀니의 사용감
부분틀니는 착탈식으로 이물감이 크고, 딱딱한 음식 섭취가 어려우며 위생 관리가 번거롭습니다.
- 브릿지의 사용감
브릿지는 고정식 보철물로 이물감이 적고, 자연치아의 저작력을 회복하며 일반적인 양치질로 관리가 가능합니다.
- 브릿지임플란트의 사용감
브릿지임플란트는 잇몸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자연치아와 같은 100%의 저작력을 제공해 편안합니다.
부분틀니는 이물감과 낮은 저작력이 단점이지만, 브릿지와 브릿지임플란트는 고정식이라 자연스럽고 씹는 힘이 강합니다.
2)수명과 비용 효율성 분석
치아 보철 치료는 초기 비용뿐만 아니라 사용 수명과 추가 교체 비용을 함께 고려해야 장기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이 됩니다.
특히 65세 이상 환자들은 한 번의 치료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선호하므로 신중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구분 | 수명 | 특징 | 비용 |
---|---|---|---|
부분틀니 | 약 7년 | 교체 주기 짧음 | 반복 비용 ↑ |
브릿지 | 10~15년 | 지대치 영향 큼 | 문제 시 전체 교체 비용 |
브릿지 임플란트 | 15~20년+ | 안정적·장기 사용 | 초기 고비용, 장기 경제적 |
부분틀니는 단기적인 비용 부담이 적지만 잦은 교체가 필요하고, 브릿지는 문제가 생길 시 전체 교체 비용이 발생합니다. 브릿지임플란트는 초기 비용이 높지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경제적입니다.
2.각 치료법의 단점과 위험성
치료법 선택 시 단순 비용만 볼 것이 아니라 치아·잇몸 손상 위험과 추가 치료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부분틀니
- 잇몸에 지속 압력 → 잇몸뼈 흡수 촉진
- 고정 치아에도 부담 → 수명 단축 위험
- 세균 번식·위생 문제 → 구취·잇몸 질환 발생 가능
- 브릿지

- 건강한 양옆 치아 삭제 필수 → 시림·신경치료 위험(30~40%)
- 삭제 치아는 회복 불가 → 수명 단축·변색·파절 위험
- 잇몸뼈 부족 환자에게는 부적합
- 브릿지임플란트
- 단점: 초기 비용 높음, 수술 필요
- 건강한 치아는 보존 가능, 장기적으로 가장 안정적이고 경제적
- 뼈이식 시술로 잇몸뼈 부족 환자도 가능
부분틀니는 잇몸뼈 흡수와 인접 치아에 부담을 주고, 브릿지는 건강한 치아 삭제가 가장 큰 단점인 반면, 브릿지임플란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며 치아 보존이 가능합니다.
3.나에게 맞는 치료법 선택 가이드
치료법 선택은 건강 상태, 경제적 여건, 수술 부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부분틀니 추천 대상
- 수술 위험이 큰 전신 질환자 (심한 당뇨, 심장질환 등)
- 초기 비용 최소화가 필요한 경우
- 임시적·단계적 치료를 원하는 경우
- 브릿지 추천 대상
- 양옆 치아에 충치·보철 필요가 있는 경우
- 수술을 원하지 않는 경우 (기존 치아 활용 방식)
- 앞니의 경우
- 브릿지임플란트 추천 대상
- 연속된 2~4개 치아 상실 환자
- 부분틀니 불편을 경험한 환자
- 건강한 치아 보존을 원하는 환자 (양옆 치아 삭제 불필요)
- 장기적 치료를 고려하는 환자 (10년 이상 사용 가능)
환자의 전신 질환 여부, 비용 부담, 치아 보존 필요성 등 개인의 상황에 따라 부분틀니, 브릿지, 브릿지임플란트 중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자주 하는 질문(FAQ)
Q.브릿지 임플란트, 뼈 이식은 꼭 필요한가요?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잇몸뼈 상태에 따라 뼈 이식이 필요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밀 3D CT 진단을 통해 현재 잇몸뼈의 양과 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잇몸뼈재생을 위한 뼈 이식을 진행합니다.
Q.치아가 빠진 곳이 몇 군데 있는데, 브릿지 임플란트가 가능한가요?
네, 연속된 치아 상실에 브릿지임플란트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기존 브릿지와 달리 주변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실된 치아 부위에만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치과를 찾는 분들 중 연속된 2~4개의 치아가 없는 경우에 많이 권유되는 치료법입니다
Q.브릿지 임플란트는 기존 브릿지보다 비싼가요?
초기 비용은 기존 브릿지보다 높을 수 있지만, 주변 치아 손상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훨씬 경제적입니다.
브릿지는 10~15년 후 지대치에 문제가 생겨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브릿지임플란트는 한 번의 시술로 20년 이상 사용 가능합니다.
Q.전체 임플란트가 필요할 정도는 아닌데, 브릿지 임플란트로도 해결될까요?
네, 부분적인 치아 상실에 브릿지임플란트가 좋은 대안이 됩니다. 특히 여러 개의 치아가 연속적으로 빠진 경우, 전체 임플란트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치료법으로 씹는 기능을 완벽하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부분틀니든, 브릿지든, 브릿지임플란트든 그 자체로 좋고 나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비용만 생각하지 마시고, 여러분의 구강 상태, 생활 패턴, 경제적 여건, 그리고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고려해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23). Clinical guidelines for partial dentures and implant-supported bridges.
- Pjetursson, B. E., et al. (2014).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FDP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41 Suppl 15, S87–S105.
- 국민건강보험공단. (2024). 건강보험 치과 보장성 확대 안내.
※ 본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메디하이에게 있습니다. 무단 복제, 배포, 2차 가공을 엄격히 금지하며, 위반 시 사전 경고 없이 법적 절차를 진행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